아이를 기관에 보내기 시작하면 부모님들이 꼭 마주하게 되는 상황들 중에 아이의 등원거부 문제가 있습니다. 보통 학기가 새로 시작되는 시기, 또는 처음에는 잘 적응하는 것처럼 보이다가 갑자기 등원거부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. 저의 아이 같은 경우는 두 가지 경우 모두 겪어보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었던 것 같습니다. 지금 저와 같은 문제를 겪고 계신 분들이 계시다면 이 글을 참고하셔서 아이의 등원거부 문제를 슬기롭게 잘 해결해 나가면 좋겠습니다. 아이가 등원거부를 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. 다음 글에서는 우리 아이가 등원거부를 하는 원인에 대해서 잘 파악해 보고 그에 따른 해결법, 그 외 실용적인 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심리적 원인과 해결법
예시: 7살인 아들 준호가 새로 이사 온 동네 유치원에서 친구를 만드는 것이 어렵다며 등원을 거부할 때(친구 문제와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두려움)
엄마의 대처방법: 준호와 함께 앉아 그의 두려움과 걱정을 이야기하고 그 감정을 인정해 줍니다. 그리고 준호에게 친구를 사귀는 것에 대한 팁을 알려주고, 함께 연습해 볼 수 있습니다. 또한 학교 선생님과 상의하여 준호가 학교에서 친구들과 더 잘 어울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.
2. 환경적 원인과 해결법
예시: 8살인 딸 지아가 크고 시끄러운 학교 환경에 두려움을 느껴 등원을 거부할 때
엄마의 대처방법: 지아와 함께 학교를 방문하여 그녀의 두려움을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. 선생님과 상의하여 지아가 조용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, 지아가 학교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도와줍니다.
3. 가정적 원인과 해결법
예시: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 7살인 아들 태윤이 가정의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등원을 거부할 때(가족 간의 갈등)
엄마의 대처방법: 태윤이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변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이혼에 대한 이야기를 솔직하게 나누고, 태윤이 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필요한 경우, 가족 상담을 받아 태윤이 이 상황을 더 잘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4. 그 외 실용적인 팁
그 외 다양한 이유(컨디션 상태, 방학 후 또는 병치레 후 등원, 엄마와 떨어지기 싫음)로 등원 거부의 원인이 있습니다. 이러한 이유로 아이가 등원을 거부한다면 부모님께서는 간헐적으로 여유가 있는 경우 아이를 집에서 쉬게 할 수도 있겠지만 반복적인 습관이 되지 않도록 신경 써주셔야 합니다. 아이가 습관적으로 등원 거부를 한다면 조금 더 일관적이고 단호한 태도도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꼭 가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부드럽게 대화를 나눠주세요. 아이와 대립하는 강압적인 것이 아닌 지지한다는 느낌을 주셔야 합니다. 또한 아이가 즐겁게 기관생활을 할 수 있을 때까지 하원 후 칭찬스티커를 붙여주시고 가끔씩 보상도 해주시면 아이의 등원 거부를 해결하는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.
아이의 등원 거부 문제는 부모에게 큰 고민거리입니다. 그러나 이 문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고, 그 원인이 되는 아이의 심리를 파악하며 그에 맞는 해결법을 찾아내면, 아이는 등원 거부 문제를 극복하고,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환경에 잘 적응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. 아이의 등원 거부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부모의 이해와 지지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그것을 극복함으로써 아이는 한 단계 더 성장하여 건강한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 생활을 하게 될 것입니다. 육아를 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 상황들에 직면했을 때 ‘시간이 약이다 ‘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. 어려운 일이지만 그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아이를 다그치지 않고 조금 기다려줄 수 있다면 아이들은 변화무쌍한 존재들이기 때문에 어느새 문제는 해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 오늘도 행복한 육아 하시기를 응원하겠습니다.
'육아, 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존댓말 하는 아이, 아이의 존댓말 사용 교육에 대한 가이드 (0) | 2023.11.13 |
---|---|
아이 초등학교 입학 전 필수 준비사항 (0) | 2023.11.10 |
아이 키 크기, 이렇게 관리하세요! 빠른 성장을 돕는 노하우 (2) | 2023.11.06 |
아이 스트레스 해소법, 가족과 함께하는 신체활동 (0) | 2023.11.03 |
쉽게 상처받고 자주 우는 아이의 원인과 해결책 (0) | 2023.11.02 |